2024년 기준 중위소득



기준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 정책의 대상을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. 기준중위소득은 매년 물가상승분을 반영해 변동되고 있는데요, 2024년 기준 중위소득 100% 기준과 함께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을 자세히 정리 했습니다.

2024년 기준중위소득 100%

2024년의 기준중위소득표는 아래와 같습니다.

중위소득2023년2024년
1인가구2,077,8922,228,445
2인가구3,456,1553,682,609
3인가구4,434,8164,714,657
4인가구5,400,9645,729,913
5인가구6,330,6886,695,735
6인가구7,227,9817,618,369

2024년 생계급여 32% 의료급여 40% 기준중위 소득

2024년에는 생계급여는 기준중위소득의 32%, 의료급여는 기준중위소득의 40%를 기준으로 합니다.

중위소득2024년 100%생계급여(32%)의료급여(40%)
1인가구2,228,445          713,102          891,378
2인가구3,682,609        1,178,435        1,473,044
3인가구4,714,657        1,508,690        1,885,863
4인가구5,729,913        1,833,572        2,291,965
5인가구6,695,735        2,142,635        2,678,294
6인가구7,618,369        2,437,878        3,047,348

생계급여는 기존30%에서 32%로 2024년에 상향 조정되었습니다.



2024년 주거급여 48%, 교육급여 50%, 차상위계층 기준중위소득

주거급여와 교육급여 기준을 아래와 같습니다.

차상위계층도 기준중위소득 50%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교육급여 기준과 같습니다.

중위소득2024년 100%주거급여(48%)교육급여,
차상위계층(50%)
1인가구2,228,445        1,069,654        1,114,223
2인가구3,682,609        1,767,652        1,841,305
3인가구4,714,657        2,263,035        2,357,329
4인가구5,729,913        2,750,358        2,864,957
5인가구6,695,735        3,213,953        3,347,868
6인가구7,618,369        3,656,817        3,809,185

주거급여 역시 기존 47%에서 48%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.



2024 기준중위소득 60%, 70%, 80%

다양한 복지정책에서 기준위소득 기준 60%, 70%, 80%를 사용하곤 하니 아래 표를 차고하세요.

중위소득60%70%80%
1인가구        1,337,067  1,559,912   1,782,756
2인가구        2,209,565  2,577,826   2,946,087
3인가구        2,828,794  3,300,260   3,771,726
4인가구        3,437,948  4,010,939   4,583,930
5인가구        4,017,441  4,687,015   5,356,588
6인가구        4,571,021  5,332,858   6,094,695

2024 기준중위소득 150%, 180%

청년드림수당, 청년도약계좌의 기준이 되는 기준중위소득 150%, 180%는 아래와 같습니다.

중위소득2024년 100%150%180%
1인가구2,228,445        3,342,668        4,011,201
2인가구3,682,609        5,523,914        6,628,696
3인가구4,714,657        7,071,986        8,486,383
4인가구5,729,913        8,594,870      10,313,843
5인가구6,695,735      10,043,603      12,052,323
6인가구7,618,369      11,427,554      13,713,064

이렇게 2024년 기준중위소득과 복지의 기준이 되는 비율을 자세히 알아봤습니다.

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.

*이런글도 읽어보세요

👉 기초생활수급자 기차할인 신청방법

👉 압류방지통장 개설 방법

👉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추천 top10